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java
- 코드 트리
- 코드트리
- 디프만16기
- C언어
- dip
- 객체지향
- Oidc
- 코딩 테스트
- 상속
- 디프만
- nGrinder
- Kotlin
- 코딩
- 코딩테스트
- depromeet
- pub.dev
- 연습문제
- flutter
- 자료구조
- Sharding
- 부하 테스트
- Redis
- Spring
- OAuth
- 운영체제
- kakao
- AOP
- c
- 다형성
- Today
- Total
목록Spring (2)
Nick Dev
공부하게 된 이유순수 Java 활용한 WAS 구현 과제를 진행하면서 예외 처리 공통화 부분을 구현하려고 했다.기존에 SpringBoot 활용해서 개발했을 때는 @ExceptionHandler 구현하고 그냥 어디서든지 예외 던지면 “알아서” 이 핸들러가 동작해서 예외에 대한 ResponseEntity를 만들어서 반환했다.이걸 직접 구현하려니깐 저 “알아서”가 어떻게 되는건지 궁금해졌다.그래서 Spring의 예외 핸들링 과정을 알아보쟈가정아래와 같이 커스텀 예외를 구현하고, 글로벌로 예외를 처리하는 예외 처리기 있다는 가정커스텀 예외애플리케이션 전반에서 사용되는 예외@Getterpublic class Api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{ private final Err..
해당 블로그는 인프런의 [스프링 핵심 원리 (기본편) - 김영한]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객체 지향에서 가장 중요한 것 다형성 :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,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음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(SOLID) SRP 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_단일 책임 원칙)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함 '책임'이라는 것은 불분명함 = 상황, 문맥에 따라 변경 가능 즉, '변경'이 있을 때, 파급 효과가 적게 설계해야 한다는 의미 OCP (Open/Closed Principle_개방-폐쇄 원칙) 스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함 = 구현은 얼마든지 가능하나, 인터페이스를 변경해서는 안된다 하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