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kakao
- 코딩
- 코드 트리
- Sharding
- Redis
- 연습문제
- dip
- Kafka
- Spring
- flutter
- C언어
- 디프만16기
- 디프만
- nGrinder
- pub.dev
- java
- Scaffold
- 코드트리
- 코딩테스트
- Kotlin
- Oidc
- AOP
- OAuth
- 운영체제
- 부하 테스트
- 코딩 테스트
- 자료구조
- c
- exception
- depromeet
Archives
- Today
- Total
Nick Dev
[Spring] 01. 객체 지향과 Spring 본문
반응형
해당 블로그는 인프런의 [스프링 핵심 원리 (기본편) - 김영한]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- 객체 지향에서 가장 중요한 것
- 다형성 :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,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음
-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(SOLID)
- SRP 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_단일 책임 원칙)
-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함
- '책임'이라는 것은 불분명함 = 상황, 문맥에 따라 변경 가능
- 즉, '변경'이 있을 때, 파급 효과가 적게 설계해야 한다는 의미
- OCP (Open/Closed Principle_개방-폐쇄 원칙)
- 스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함
- = 구현은 얼마든지 가능하나, 인터페이스를 변경해서는 안된다
- 하지만 구현 객체를 변경하려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해야 된다 → OCP 위반
- 해결 방법 : 객체를 생성하고,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, 설정자가 필요함 = Spring Container
- LSP (Liskov Subtitution Principle_리스코프 치환 원칙)
-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함
- =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는 것
- EX) 자동차 인터페이스에서 '엑셀'은 앞으로 가는 기능, 하위 클래스에서 뒤로 가는 엑셀 구현 시 → LSP 위반
- ISP (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_인터페이스 분리 원칙)
-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가 1개의 범용 인터페이스보다 나음
- EX) 자동차 인터페이스 → 운전 인터페이스 &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
- DIP (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_의존관계 역전 원칙)
- 추상화에 의존해야지,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됨
- =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 말고, 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된다는 의미
- SRP 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_단일 책임 원칙)
- 객체 지향의 핵심은 다형성이다
- 하지만 다형성만으로는 쉽게 부품을 갈아 끼우듯 개발할 수 없다 → 구현 객체 변경 시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되기 때문
- 즉, 다형성만으로 OCP, DIP 지킬 수 없음 = 무언가 더 필요함
- Spring
- 다형성 + OCP, DIP 가능하게 지원
- DI (Dependency Injection) : 의존관계, 의존성 주입
- DI 컨테이녀 제공
- 클라이언트 코드의 변경 없이 기능 확장 가능 = 쉽게 부품 교체하듯이 개발 가능해짐
반응형